군대도 전역한 지 두 달이나 넘게 지나서 기억이 가물가물하지만, 군대에서 통신선로 기능사를 따는 데 관심 있는 사람이 있을까 싶어 통신선로 기능사를 땄던 과정을 남겨볼게요. 혹시 더 궁금한 부분이 있으면 밑에 댓글로 남겨주세요!
타임라인을 보면
국가기술자격 검정시험 신청, 신청 성공 여부 확인 → 필기시험일정확인 → 필기시험 응시 → 필기시험 점수 확인, 실기시험 일정 공지 → 실기시험 응시 → 합격 여부 발표
이렇게 됩니다.
군대에서 국가기술자격 검정시험은 1년에 두 번 전반기, 후반기 이렇게 나누어져 있습니다. 저는 그중에서 2024년 전반기 시험을 보고 전역 한 2주 전에 합격 확인을 했어요.
1. 시험 신청하기
군대 인트라넷을 사용해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사단 홈페이지나 육군 홈페이지를 잘 찾아보다 보면 ‘국가기술자격 검정시험’ 이라는 페이지가 있을 거예요. 오래전에 만들어진 것 같은 사이트지만 제대로 된 신청페이지가 맞으니 거기서 신청하면 됩니다.
주의 사항 몇 가지를 남겨볼게요.
- 지원서는 본인이 작성해서 제출하는 것을 확인해 주세요.
- 행정반에서 국기검 신청인원 리스트를 가져갔다고 해서 신청되는 게 아니에요. 본인이 꼭 직접 국기검 신청을 하시거나 최소한 신청내역을 확인해 주세요
- 행정반에서 응시 희망자 조사해 갔다고 본인이 국기검 신청했다고 생각하는 인원이 있었어요. 하지만 실제로는 지원서가 제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응시할 수 없었습니다.
- 지원서 작성은 신청 기간 첫날에 신청 시작되자마자 해주는 게 좋아요.
- 통신선로 기능사는 인기가 많은 종목은 아니라 신청이 여유롭습니다. 하지만 지게차 같은 종목인 인기가 많이 첫날에 마감이 되는 경우도 있는 것 같아요.
- 지원서 작성 시 사진을 확인해 주세요.
- 사진 첨부가 오류가 나는 경우가 종종 있어요
- 사진이 잘못되면 전화가 와서 확인해달라고 하지만 만약 그 전화를 놓쳤다면 지원서가 제대로 작성되지 않았다고 여기고 떨어트릴 수도 있어요. 그러기 전에 사진 첨부가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하면 좋을 것 같아요. 저도 사진 첨부가 오류나서 전화왔었어요. (군대 사무실 유선번호로 옵니다)
- 정확한 사진 요건은 국기검 지원서 페이지에 나와 있어요.
2. 필기시험 일정 확인 / 응시
지원서를 제출하고 기다리다 보면 필기시험 일정이나 장소가 나올 거예요. 확인하고 알고 있으면 됩니다.
주의 사항
- 필기시험 응시 시 ‘수험표’ 꼭 챙기세요. 수험표는 국기검 사이트에서 인쇄할 수 있어요.
- 신분증도 있어야 해요.
원래는 군대에서 시험장까지 교통편을 제공해 주어야 하는 게 맞아요. 제가 있던 부대도 국기검 인원이 어느 정도 있어서 중형버스를 타고 시험장으로 이동했어요. 그리고 필기시험은 군대에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따로 외출 신청 같은 것을 하지 않아도 되었어요. 하지만 주변에서 들어보니 교통편을 제공하지 않고 개인에게 맡기는 경우도 있었기 때문에 부대 바이 부대 일수도…?
3. 필기시험 공부법
통신선로기능사는 개인적으로 필기시험이 가장 고비라고 생각해요. 필기시험을 너무 대충 공부하면 많이 떨어지는 것 같더라고요.
저는 온라인에 나와 있는 기출문제만 풀었습니다. 따로 교재를 구매하지는 않았어요. 그러고 76점 맞아서 합격했으니 기초가 없는 상태에서는 괜찮은 점수라고 생각해요.
-
기출문제
여기서 최근 6년도 문제 풀었습니다. 좀 더 시간이 있었으면 더 이전 문제도 한 번씩은 풀어봤을 것 같아요.
시험은 문제은행식이라고 하는데 기출문제와 겹치는 것도 있었지만 처음 보는 문제도 많아서 필기시험에서는 당황했지만, 그냥 아는 만큼 풀고 나오자는 마음으로 풀었더니 어느 정도 합격점은 나온 것 같아요.
-
기출 오답.
기출문제를 푸는 것은 좋긴 한데 문제는 답지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어요. 문제도 겹치는 게 종종 있고 같은 문제인데도 답이 다르더라고요. 그래서 저는 Microsoft Copilot 써서 사지선다 중에 답을 알려달라고 했어요. 그렇게 AI가 생성한 답을 가지고 오답 노트를 간단히 만들어서 개념 공부도 하고 오답도 했습니다. 문제를 가지고 개념을 역으로 만들어내서 공부했던 것 같아요. 요즘은 Perplexity나 ChatGPT search 같은 것도 나오니 다양한 AI 모델 사용해서 답과 설명을 뜯어낼 수 있을 것 같네요.
-
자료
제가 공부하느라 정리했던 자료/오답노트 한번 남겨봅니다.
https://docs.google.com/document/d/1zefbmmyHGIUZ3v23axAGn1tv1RTS1ozKoPZ9dVk2n6Q/edit?usp=sharing
솔직히 좀 더 확실하게 공부하려면 책을 사서 개념 한번 보는 것이 좋겠지만, 저는 목표가 필기시험 60점 이상 받는 것이었기 때문에 문제에서 개념을 도출해서 몇 번만 보아도 점수 달성에 무리가 없다고 생각했어요. 책 사서 공부하는 것은 개인차일 것 같아요. 워낙 온라인에 필기시험 정보가 없긴 해서요.
-
기타
기출문제만 대충 몇 번 푼 사람들은 떨어지더라고요. 기출문제를 푸는 것과 더불어 살짝이라도 개념을 아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시험에서 생각보다 기출과 다른 문제가 나와서 개념을 아예 모르면 운에 맡기는 수밖에 없어요. 그리고 운에 맡긴 결과는…글쎄요.
4. 필기시험 점수 확인 / 실기시험 일정확인
필기시험을 치고 합격 점수 이상 받은 것을 확인한 후에 실기시험일 일정이 나오기를 기다렸습니다.
저는 실기시험을 치느라 총 6박 7일의 일정으로 육군 정보통신학교에 다녀왔습니다.
실기시험도 어디는 비용 처리해 주는 부대도 있다고 들었으나, 저는 그냥 교통비 부담하고 갔다 왔습니다. 대전과 부대가 꽤 멀었거든요. 자세히 알아보면 교통편 지원도 있는 것 같은데 자세히 안내받은 것은 없네요.
5. 실기시험 응시
실기시험 준비는 따로 많이 하지는 않고 유튜브에 통신선로기능사 실기시험 영상이 있습니다. 그것만 몇 번 봤던 것 같아요.
랜선 만들기는 제가 통신병이라 많이 해봐서 따로 연습하지는 않았습니다.
그리고 정보통신학교 가서 연습을 매우 많이 시켜주기 때문에 잘 모르시더라도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 같다고 생각했어요. 실기시험은 실격 사유만 없으면 모두 합격 가능한 것 같아요.
어렵지 않으니 걱정 안 해도 될 것 같네요.
그리고 일정도 여유 있기도 하고 응시 인원이 많지 않아서 연습 많이 하실 수 있어요. 제가 실기시험 볼 때 실기시험 응시자가 20명이 아마 안 되었을 거예요.
그리고 정보통신학교 정문 위치는 버스 타고 중간으로 쭉 직진해야 나옵니다. 나중에 지도를 보시면 알게 될 거예요. 처음에 입구를 몰라서 햇볕 밑에서 헤맸습니다. 정류장 이름에 속지 마세요. 꺾지 말고 버스가 큰 도로에서 직진해야 합니다.
그리고 정보통신학교 인트라넷 홈페이지 들어가면 이동 관련해서 정보가 조금 있고(지도가 있어요, 정문이 안 나와 있긴 하지만…대로변에 붙어있어요.), 검색창에서 찾아보면 다른 대대 게시판에 이동 관련해서 TMO 관련 정보가 나와 있긴 합니다.
6. 합격자 발표
실기시험까지 응시하고 합격자 발표가 나기를 기다렸습니다. 군대 인트라넷으로 확인하면 좀 더 빨리 확인할 수 있고, 외부 인터넷에서 확인하려면 정보를 연동하는 데 시간이 걸려서 좀 더 확인하는 데 시간이 걸려요.
합격내역이에요! 따로 상장형을 신청하지는 않았어요.
혹시라도 추가로 궁금하신거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